1. 측정의의 1. 세균이나 이물에 저항하는 항체
- 인간의 몸은 원래 체내에 없는 세균이나 이물이 침입하면 그것들에 저항하는 항체라는 물질을
형성하여 몸을 지키는 작용이 있습니다. 혈청(혈액이 응고할 때의 상청액)중에 한번 항체가 생기면 다시 그들 세균이나 이물이 침입하였을 때 체외로 배출합니다. 이런 일을 하는 것을 면역이라고 합니다. 혈청 중에 항체의 형성여부를 검사하는 것이 면역·혈청 학적 검사입니다.
2. 항체에 반응하는 항원을 검색합니다.
- 항체가 만들어지는 원인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외부에서 침입하는 침입물을 항원이라고 합니다.
이 항원이 항체와 결합하는 현상을 항원 항체반응 또는 면역반응이라고 합니다. 체내에 침입된 항원에 대하여 여러 가지 다른 항체가 형성됩니다. 그래서 혈청 중에 항원을 넣어 그것과 결합하는 항체를 조사하면 질환의 감염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결국 면역·혈청학적 검사란 체내의 세균이나 미생물 등을 직접 검출해 내는 방법이 아니고, 혈액 중에 감염으로 인하여 생긴 항체가 존재하는지를 조사해서 질병을 진단하는 검사법입니다.
2. 다양한 이용법 1. 감염증인지 면역 이상인지를 검색합니다.
- 면역·혈청학적 검사는 감염이나 면역이상 등에 의한 질환을 진단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다른 검사와 조합시켜 감염이 주체인 염증인지, 면역이상의 원인으로 생긴 염증인지를 알 수 있는 것입니다. 감염이 주체인 질환으로는 B형 간염이나 매독 등의 진단에, 면역이상에 의한 질환으로는 만성관절류마티스나 류마치스열 등의 교원병 진단에 이용됩니다.
2.면역·혈청학적 검사의 이용법
A. 혈액이나 조직의 적합 부적합의 판정
- 수혈시의 혈액형의 판정 수혈시의 적합한 혈액형의 검색
- 수혈하는 혈액중의 항체 검출로 임신시의 모자간에 나타나는 혈액형 부적합의 진단
- 장기이식시, 장기 사이에 조직의 적합 여부 판정
B. 면역 이상에 의한 질환의 진단
- 용혈성 질환의 진단·예방 및 치료
- 알레르기성 질환의 진단·예방 및 치료
- 면역부전증의 진단·예방 및 치료
- 임신조기진단, 초상기태나 악성융모상피종 등의 이상임신의 진단
- 혈청 단백이상증의 진단
C. 감염증의 진단
-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환의 진단
- 암의 면역학적 진단과 면역요법
- LA 항원계에 의한 자가면역 질환의 발병 가능성의 판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