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반적 의의 1.빈혈의 종류를 진단
2.정상치
A.헤모글로빈 (Hb)
- [남성] : 13∼17 g/dL
- [여성] : 12∼15 g/dL
B.헤마토크리트 (Ht)
- [남성] : 39∼50%
- [여성] : 36∼45%
3.이상치를 보이는 주요 질환
- 증가 : 진성다혈중, 2차성다혈증
- 감소 : 각종 빈혈증, 만성관절류마치스, 백혈병, 악성종양, 신부전
2. 헤모글로빈이란
- 헤모글로빈은 적혈구에 함유되어 있는 혈색소로 몸 구석구석에 산소를 운반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헤모글로빈은 헴(heme)이라는 철분과 글로빈(globin)이라는 단백이 결합되어 있는 것입니다. 이 헴의 철분이 산소와 결합하여 산소를 전신의 조직 세포로 운반하고 그 대신에 이산화탄소를 운반해 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헤모글로빈이 감소되면 빈혈로 됩니다. 혈액중에 함유되어 있는 이 헤모글로빈양을 측정하여 빈혈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 헤모글로빈 검사입니다.
3. 헤마토크리트란
- 일정량의 혈액중에 어느 정도의 비율로 적혈구가 함유되어 있는가를 조사하는 검사가
헤마토크리트입니다. 헤마토란 혈액, 크리트란 분리를 의미하므로 혈액을 원심분리기로 고형 성분과 혈장(상청)으로 분리하여 측정하는데서 그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4. 검사로 알 수 있는 것
- 헤모글로빈은 적혈구의 성분이고 헤마토크리트도 혈액 전체에 대한 적혈구의 비율이므로 대체로 적혈구가
감소하면 모두 다 감소합니다. 예외로 철결핍성빈혈에서는 적혈구수는 정상일지라도 적혈구 용적이 적어서 헤마토크리트치는 저하합니다.
5. 정상치와 변동범위
- 성별 연령에 따라 정상치가 다르다 :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리트는 연령에 따라 정상치가 변합니다.
- 출생 직후에는 높은 수치를 보이나 생후 6개월경에는 감소합니다.
- 계절이나 시간에 따른 변동 : 헤마토크리트치는 여름철보다 겨울철이 높게됩니다.
6. 이상치와 의심되는 질환
- 증가 : 다혈구혈증, 황달, 선천성 심질환, 고산병, 폐기종
- 감소 : 철결핍성 빈혈(RBC와 동일)
-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리트 어느 것이라도 정상치 이하를 보일 경우 빈혈입니다. 빈혈의 대부분은
여성에 많은 저색소성 빈혈입니다. 다음으로 많은 것은 악성빈혈, 용혈성빈혈, 재생불량성빈혈, 백혈병이나 암의 전이로 인한 빈혈입니다.
7. 빈혈을 일으키는 기전
- 용혈 : 적혈구가 여러 원인으로 혈관내에서 파괴됨
- 철결핍 : 소화관 궤양 등
- 실혈 : 토혈, 하혈, 외상 등의 급성출혈과 만성적 궤양이나 치질, 암 등으로 인한 실혈
- 골수생산능 저하 : 재생불량성 빈혈, 백혈병, 골수에서의 적혈구 생산불량
- 철 이용장애 : 만성관절류마티스, 신부전
- 유전적 결함 : 거대적아구성빈혈, 탈라세미아, 철아구성빈혈, 적혈구성숙불량,
색소제조불량
coupons for drugs site coupon for prescrip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