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반적 의의 : 콜레스테롤 중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작용이 있어서 좋은 콜레스테롤이라고도 합니다. HDL-콜레스테롤 측정은 동맥경화증 방지에 유용한 검사가 되고 있습니다.
![](http://fileupload.sharebrain.co.kr/bjhosp/Editor/images/000001/제목_없음.bmp)
본 검사를 위해서는 반드시 14시간 공복 시 채혈하여야 하며 심한 지방혈증 검체는 부적당합니다.
2. HDL-콜레스테롤이란 : 혈액중의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 등이 단백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리포단백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원심분리기로 분리하면 비중 차이로에 의해 카이로마이크론, 초저비중리포단백인 VLDL, 저비중리포단백인 LDL, 고비중리포단백인 HDL의 순서대로 분리됩니다. 이 가운데 HDL에 함유된 콜레스테롤이 HDL-콜레스테롤입니다. 콜레스테롤 중 LDL은 동맥경화의 위험인자로 생각되어 나쁜 콜레스테롤이라 할 수 있고, HDL-콜레스테롤은 동맥내벽에 달라붙은 LDL-콜레스테롤을 제거하여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좋은 콜레스테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심근경색이나 뇌혈전증이 있는 경우에 LDL-콜레스테롤은 높고 HDL-콜레스테롤 낮은 경우가 보편적입니다.
3. 정상치와 변동 범위 : HDL-콜레스테롤의 정상치는 남성에서는 32∼72mg/dL이나, 여성은 약간 높아서 34∼81mg/d1 정도입니다. 운동을 하고 금연을 하면 HDL-콜레스테롤이 증가되므로 건강에 좋고 성인병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4. 이상치와 의심되는 질환 : HDL-콜레스테롤의 측정은 질환의 진단이라기보다 동맥경화성 질환의 위험인자의 유무를 파악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따라서 40mg/d1 이하로 낮게 나타나면 심근경색이나 뇌혈전증, 고지혈증 등 질환의 발생 위험이 높다는 의미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5. 이상치에 대한 대책 : HDL-콜레스테롤 치를 낮추는 원인으로는 흡연, 비만, 운동부족, 당뇨병 등이 대표적이므로, 금연, 체중감량, 운동,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등이 필요합니다. 특히 총 콜레스테롤은 고농도를 보이면서 HDL-콜레스테롤이 낮은 경우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