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장 측정법
턱을 빼고 눈과 귀를 연결하는 선이 수평이 되도록 하여 똑바로 섭니다.
과신장 : 동성(同性) 동연령(同年齡)의 평균 신장보다 표준편차의 3배 이상 클 때. 체질적으로 키가 큰 사람이 대부분이며 거인증과 같은 질환도 있습니다.
저신장 : 동성(同性) 동연령(同年齡)의 평균 신장보다 표준편차의 3배가 작을 때. 대부분 체질적으로 작고 호르몬(hormone)이상, 뼈이상, 염색체 이상 같은 질환도 있습니다.
2. 체중
체중측정은 가정에서 손쉽게 할 수 있는 건강의 척도입니다. 체중변동은 생체의 변동뿐만 아니라 성인병 예방에도 중요합니다.
보통은 시간을 정해서(아침 식전) 측정합니다. 측정은 배설을 마치고 식사와 식사 사이에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유아는 유아용 체중계로 측정하며 유아가 기기를 붙잡거나 바구니의 갈개가 주위의 물건에 닿으면 오차가 생길 수 있습니다.
3. 신장과 체중의 조화
체중은 신장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판정합니다. 신장에 알맞은 체중을 표준체중이라고 합니다. 표준체중을 계산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보통 (신장 - 100) × 0.9의 식으로 계산합니다. 즉, 신장 169cm인 사람이라면 (169 - 100) × 0.9 62.1로 표준체중은 62.1kg으로 되지만 나이에 따라 조금씩 수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4. 비만도
비만도는 표준체중에 대한 체중비율을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합니다.
비만도(%) (실측체중-표준체중) / (표준체중) * 100
25∼29세 남자에서 신장 169cm에 체중 70kg인 사람은 표준체중이 62.1kg이므로 비만도는 13%로 계산됩니다.
(70 - 62.1) / (62.1) * 100 13%
이외에도 비만도 측정에는 여러 방법이 있지만 위의 표준체중을 구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비만도는 ±10%는 허용 범위이고, +10∼+20%는 경비만, +20% 이상은 비만이므로 체중감량이 필요합니다. -20% 이상으로 되면 깡마른 형입니다.
2∼3개월 사이에 체중이 갑자기 3∼4kg 정도 줄면 그레이브스병, 당뇨병 같은 내분비 대사질환이나 위암 등이 발병해도 그럴 수 있으므로 정밀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5.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비만
대부분 비만의 원인은 지나친 음식물 섭취와 운동 부족입니다. 쿠싱 증후군이나 갑상선기능저하증 같은 내분비계 질환이나 신경안정제, 관절통에 쓰이는 부신피질호르몬제, 경구피임제 등의 과용으로 인한 비만도 있습니다.
비만도가 높아지면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통풍, 지방간 같은 성인병으로 이행되기 쉽습니다.
manufacturer coupon for bystolic bystolic coupon voucher bystolic coupon link bystolic coupon mckesson clarityne plm read claritine d |